생소한 '고교학점제’가 2025년 시행됩니다. 고교학점제 도입 후 영향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고교학점제
도입 취지
2023년 6월 21일 교육부가 발표한 《공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에 담겨 있는 ‘고교학점제’ 관련 아래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핵심은 시대가 바뀌었다는 것으로 디지털 대전환, 초저출산 등 급격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모든 학생 한 명 한 명을 미래사회의 인재로 키운다는 계획입니다. 그 방안으로 2025년도부터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을 포함한 다음과 같은 세부 추진 과제를 담고 있습니다.
세부추진 과제
추진과제를 요약하면 기초학력 교육 (초3, 중1이 책임교육학년), 디지탈디지털 기반 교실, 다양한 교육 기회, 교사 수업역량 강화 등 4가지입니다. 학생은 줄고 교사는 그대로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기반으로 급격하게 바꾸는 형태입니다.
이 부분과 관련된 내용 전문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고교학점제에서의 성적
성적은 2가지 평가가 있습니다.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지금까지 중요한 과목의 평가는 상대평가로 이뤄져 있습니다. '성적이 오른다'라는 말이 잘못된 표현인 것처럼 '등수'가 중요합니다. 고교학점제 성적 산출 방식 및 대입 반영 방식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성적 산출 방식
- 1학년 공통과목: 석차 9등급 (상대평가)
- 2, 3학년 선택과목 (일반, 진로, 융합): A~E 성취도 (절대평가)
- 단, 사회/과학 융합 선택과목은 5등급 상대평가
2. 대입 반영 방식 (예상)
- 학생부 교과 전형: 1학년 석차 등급과 2, 3학년 성취도를 환산하여 반영할 것으로 예상
- 중상위권 대학: 면접고사를 추가하여 선발할 가능성 높음
- 자사고/외고/국제고 존치: 2, 3학년 성취도를 더 비중 있게 반영할 가능성도 있음
- 대학별 세부 반영 방법은 2026년 4월 발표 예정 (고1 학생과 학부모는 미리 염려할 필요 없음)
- 일반고 vs 자사고/외고/국제고 진학은 진로와 연관지어 고려 필요
고교학점제에서는 학년별 성적 산출 방식이 다르지만, 대입에서는 이를 환산하여 반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므로, 2026년 발표될 대입 전형 시행계획을 참고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평가 방법
구 분 | 절대평가 | 상대평가 | 통계 정보 | |||
원점수 | 성취도 표기 | 석차 등급 | 성취도별 분포 비율 |
과목 평균 | 수강자 수 | |
보통 교과 | ○ | A‧B‧C‧D‧E 중 | 5등급 | ○ | ○ | ○ |
사회ㆍ과학 융합 선택 | ○ | A‧B‧C‧D‧E 중 | ○ | ○ | ○ | |
체육ㆍ예술/과학탐구실험 | A‧B‧C 중 | |||||
교양 | P | |||||
전문교과 | ○ | A‧B‧C‧D‧E 중 | 5등급 | ○ | ○ | ○ |
관련 Q&A
Q1. 소규모 농산어촌 학교에서 다양한 과목을 개설하기 어려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까?
A1. 온라인 학교와 지원센터를 통해 다양한 과목 개설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온라인 수업의 학습 효과가 대면 수업과 동일한지, 지역 및 학교에 따라 학습 방식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Q2. 2028학년도 수능시험은 어떻게 출제될까??
A2. 국어, 수학, 영어,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고등학교 2학년 일반선택과목에서, 한국사,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고등학교 1학년 공통과목에서 출제됩니다. 하지만, 영역별 문항 수, 배점, 출제 경향 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 3월쯤 발표될 예정입니다.
Q3.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라 어떤 문제들이 예상되나?
A3.
- 2, 3학년 성취도 평가 기준 및 결과의 학교별 차이 발생 가능성
- 학교별로 다른 진로/융합 선택과목에 대한 평가 기준 마련 필요성
- 온라인 수업 시 평가 방식 및 성취도 평가 기준 마련 필요성
- 수능시험 EBS 연계 교재 지속 여부 및 고3 수업 방식 문제
Q4. 예비 고1 학생과 학부모는 지금 무엇을 해야 할까?
A4. 고교학점제에 대한 정보를 얻되, 불확실한 정보에 흔들리지 말고 학교 공부와 학교생활에 집중하며 진로와 적성 탐색에 힘써야 합니다. 진학 고등학교는 교육부의 고교학점제 시행계획,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 2028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계획 등을 참고하여 결정해도 늦지 않습니다.
마무리
고교학점제는 아직 세부적인 시행 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부분이 많습니다. 따라서 예비 고1 학생과 학부모는 학교 공부에 집중하면서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진로와 적성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대인재 2025 학년도 입결 2024 학년도는 의대 1,327명, 학원비는 월 217만 원 (1) | 2025.01.28 |
---|---|
고교 내신 9등급에서 5등급으로 바뀔 경우 지원 가능한 서울권 대학 2025년 기준 (1) | 2025.01.26 |
2025년 시행 고교학점제 교육부 발표 자료 요약 (0) | 2025.01.24 |
대입 이해 학생생활기록부 생기부 잘쓰는 법 (0) | 2025.01.23 |
중3, 고1 학부모 필독 대입 제도 쉽게 이해하기 수시 정시 전형 (0)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