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방환경

학원, 공부방의 적정한 색온도 6,000K 푸르스름한 빛 눈 주의

by 연구일인 2025. 2. 4.
반응형

색온도에 따라 공간의 분위기가 크게 달라집니다. 따뜻한 색온도는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차가운 색온도는 집중력을 높이는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적절한 색온도는 눈의 피로를 줄이고 시각적 편안함을 높여줍니다. 학원이나 공부방에 적정한 색온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색온도

 

 

 

색온도는 빛의 색깔을 숫자로 표현한 것입니다. 켈빈(K)이라는 단위를 사용하는데, 숫자가 낮을수록 따뜻한 색, 높을수록 차가운 색입니다. 색온도는 우리의 심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뜻한 색온도는 안정감을 주고, 차가운 색온도는 각성 효과를 줍니다. 그리고 물체의 색이 얼마나 자연스럽게 보이는지에 영향을 미칩니다. 미술학원이나 갤러리에서는 이 때문에 색온도에 신경을 많이 씁니다.

 

색온도에 따른 빛의 느낌

낮은 색온도는 붉은색, 노란색 계열로 따뜻한 느낌이고, 높은 색온도는 푸른색, 흰색 계열로 차가운 느낌입니다. 예를 들어, 촛불은 약 1900K로 따뜻한 노란색이고, 맑은 날의 햇빛은 약 5500K로 차가운 흰색입니다. 

 

공간 분위기 조성:

색온도에 따라 공간의 분위기는 다르게 느껴집니다. 침실이나 거실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따뜻한 색온도는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차가운 색온도는 집중력을 높이는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그리고 적절한 색온도는 눈의 피로를 줄이고 시각적 편안함을 높여줍니다.

 

색온도의 종류

2700K - 3000K

전구색으로 따뜻하고 아늑한 느낌으로 촛불, 백열등과 비슷한 색으로, 주로 거실이나 침실 등 편안한 분위기가 필요한 공간에 사용됩니다.

 

3500K - 4100K

주백색으로 밝고 깨끗한 느낌의 형광등과 비슷한 색입니다. 주방, 서재, 욕실 등 활동적인 공간에 사용됩니다. 

 

5000K - 6500K

주광색으로 차갑고 시원한 느낌을 줍니다. 햇빛과 비슷한 색으로, 사무실, 작업실, 병원, 서재, 공부방, 학원 등 집중력이 필요한 공간에 사용됩니다. 

 

 

 

 

거실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
 전구색(2700K-3000K)
침실  숙면, 편안함
 전구색(2700K-3000K)
주방  음식의 색, 상태
 주백색(3500K-4100K)
서재, 공부방  집중력
 주광색(5000K-6500K) 
욕실  깨끗하고 밝은 느낌
 주백색(3500K-4100K) 

 

 

빛의색

 

공부할 때

이해와 암기력은 노란빛이 도는 주백색 3,800~5,000K

장시간 집중이 필요한 과목을 학습할 때 적절한 색온도입니다. 국어, 영어, 사회 과목처럼 확실히 개념을 이해하고 넘어가야 하는 과목이나 암기력을 요하는 공부를 할 때 도움이 됩니다. 상대적으로 눈이 편안합니다.

 

사고력과 집중력은 푸른빛이 도는 6,000~7,000K

졸음을 방지하고 뇌를 자극시켜 사고력과 판단력을 끌어올립니다. 일종의 각성효과로 수학, 과학 과목처럼 높은 집중력과 사고력을 학습을 할 때 도움이 됩니다. 눈에 피로가 올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시고 자외선 차단 필터가 있는 안경이 도움이 됩니다.

 

창의력은 전구색 2,500~3,000K

상대적으로 붉은빛은 몸과 마음의 긴장을 완화시킵니다. 붉은빛이 도는 조명은 감성적 영역을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예술 활동에 도움이 되고, 창의력이 필요한 공부를 할 때 도움이 됩니다. 

 

책상 위 스탠드, 그림자를 없애는 것

방이 밝음에도 책상 위에 스탠드를 두는 이유는 그림자 때문입니다. 책상이 구석진 곳에 위치하면 전등이 머리 뒤쪽 천장에 위치하게 됩니다. 자연스럽게 그림자가 생기는데 스탠드는 그림자를 없애는 역할을 합니다. 스탠드 빛이 밝으면 눈에 피로가 오기에  노란빛이 도는 주백색 3,800~5,000K 광원의 스탠드가 도움이 됩니다. 참고로 광원에서 열이 나지 않는 LED 계열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