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의발견101

불티나게 팔린 불티나. 금연이 열풍이 지금에도 살아남은 명품! 불티나 라이터 정말 허접한 물건일까? 불티나 나는 산업 디자인을 전공했다. 그 시절 별것 아닌 것으로 싸움이 잦았다. "이게 좋은 거네, 저게 좋은 거네..." 하며... 대학생 시절, 아마도 그 시기 남자의 대부분은 담배를 피웠다. 그리고 담배를 피우기도 쉬웠다. 지하철역에 재떨이 있었고, 비행기에서 담배를 피울 수 있었다. 커피숍에서 담배를 피울 수 있었고, 식당에서도 교수님 앞에서도 담배를 피울 수 있던 시절이었다. 담배 피우는 모두가 담배와 라이터를 가지고 있었는데, 담배는 이상한 담배를 피우지 않는 한 모두 비슷비슷했고, 흡연자가 남과 다른 뽀대를 가질 수 있는 품목은 라이터였다. 늘 경쟁에 몰려 살던 당시 비교 버릇이 어디 가겠는가? 그 시절 '어떤 라이터가 최고인가?'라는 논쟁이 붙었다. (.. 2023. 3. 21.
1970년대 이야기... 1970년대를 정리해 보고 싶었다. 응답하라 1988에 나오는 학생들이 태어난 시대가 1970년대다. 1969년~1971년까지 매년 100만 명의 아이들이 태어났다. 경제는 무지막지하게 성장하고 물가도 무지막지하게 오르던 시절이다. 당시의 결혼문화 이 당시 결혼했던 분들의 나이는 남자는 26세 ~ 28세, 여성은 22세 ~ 26세가 많았다.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남자는 9수는 피해야 했고 30살이 넘으면 결혼이 늦는다고 했으니 남자의 28세까지가 결혼의 적령기로 추정된다. 여성의 경우 4살 차이는 앞두 안본다고 했으니 남자의 나이에서 4살을 빼면 된다. 대입 진학률이 15%도 안되었던 시절이니 고등학교 졸업하고 사회생활 4~5년 하면 결혼적령기가 되었다. 남자들은 군대를 36개월 채워서 다녀왔으니 여성보.. 2023. 3. 13.
한국 1등! 한국이 잘하는 것들 총정리, 국뽕주의 이번 포스트에서는 대한민국! 즉, 지금의 우리가 잘하는 것들을 알아보도록 한다. 전 세계 영토의 0.02%, 세계 인구의 0.67%를 차지하는 한국! 통계자료의 시차로 차이가 있을 수는 있을 수 있지만 그래도 큰 차이는 없다. 그런데 여기서 세계 1등을 하는 것들... 한국이 잘하는 것들 치안 한국은 치안이 가장 좋은 나라 중 하나다. 치안이 잘 되는 나라 2위는 싱가폴! 우리는 뉴스에 나오는 중대 범죄로 인해 그것이 일상인 것처럼 사건 사고가 많은 것처럼 느껴지지만 그건 뉴스가 갖는 속성 때문이다. 유럽 그 중 프랑스! 당연히 우리보다 선진국 이렇게 인식한다. 그런데 우리에게는 이젠 거의 사라진 소매치기, 프랑스에는 무척 많다. 러시아 이런 곳은 말할 것도 없고...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소매치기는 당연.. 2023. 3. 2.
한국의 기업 의리의 한화 김종회, 김승연 기업 중에 국민들에게 재벌일가가 가장 잘 알려진, 양면성을 가진 기업이라고 할수 있다. 사훈이 '신용과 의리!'인 회사. 실제로 의리에 강한 기업이라고 한다. 그런 미담도 꽤 많다. 그러나 우리가 느끼는 의리! 깡패 같은 느낌!이 있었던 사건도 참 많이 일으킨 회사다. 의리의 한화 2022년 현재 재계서열 7위! 삼성, SK, 현대 차, LG, 롯데, 포스코, 한화, GS, 현대 중공업, 그리고 농협! 김종희 회장 조선화학 한화의 설립자는 김종희 회장이다. 천안 태생이고 천안북일고 설립자다. 자식은 2남 1녀를 두었다. 아들은 현 한화 회장 김승연 차남은 현 빙그레 회장 김호연. 일제시대 때 조선화약 공판에 입사해서 일하다 일본이 패망하고, 6.25 겪고, 조선 화약 공판을 인수하여 한국화약을 세운다. .. 2023. 2. 28.
막걸리, 비오는 날엔 막걸리에 파전! 왜 막걸리인거지? 막걸리는 왜 이름이 막걸리일까? 그리고 비오는 날에는 막걸리에 파전이라는 데... 이게 사실 맞다. 말이야 막걸리야? 이번 포스트에서는 술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말 같잖은 소리, 헛소리를 들었을 때 '이게 말이야 막걸리야?'라는 표현을 쓰기도 하는 '막걸리' 그런데 막걸이는 왜 막걸리라고 할까? ‘막’은 ‘마구’의 준말이고, ‘걸이’는 거르다는 뜻이다. 그러니, ‘마구 걸렀다’는 의미이기도 하고 ‘막’은 ‘바로’란 의미로 ‘바로 걸렀다’란 의미이기도 하다. 제조 과정을 알면 둘 다 맞는 말이란 것을 알 수 있다. 다양한 이름 : 탁주, 농주, 국주 막걸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국보급 술이다. 인기만큼이나 이명(異名)도 많은데, 청주에 비해 탁하다고 해서 탁주(濁酒)라고도 하고. 농사철에 빼놓을 수 없는 .. 2023. 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