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의발견101

유튜브 광고 아크테릭스 46900원의 현실, 아크가 아닌 교묘한 아레테릭스... 광고 보고 검색하신 분 먼저 주문하고 보셔도 됩니다. 유튜브에 아크테릭스 하드쉘 광고가 나왔습니다. 가격이 46,900원 2개 사면 15,900원이 추가 할인이 된다고 합니다. 순간 클릭 욕구가 일었습니다. 분명 아크테릭스라 쓰여 있는 광고!!!  광고 곳곳에 실제 아크테릭스 사진이 나옵니다. 그리고 이용후기도 있습니다.    혹했던 광고, 보고 싶은 것만 보이는'색상이 너무 쨍하지 않고 오히려 사진보다 이쁘네요"라는 지극히 정상적인 한글... 혹... 가격은 너무 저렴해서 포기할 수도 있는 금액...  광고의 싼 가격에 혹하다광고 문구에는 고압 물총으로 분사하는 견딜 수 있고 8급 폭우도 저항 가능이라는 중국식 한글이 있는데... 실제 사진에서 물총을 맞는 옷은 아크테릭스가 확실했습니다.   광고 중에 아크테릭스 매장 사진도 보입니다. 그리고 시조새가 분.. 2023. 8. 16.
젓가락, 한중일은 밥 먹을 때 다 젓가락을 쓰나요? 젓가락의 모양이 왜 다르지? 한국, 중국, 일본은 서로 비슷 비슷한데 디테일에서 많이 다르다. 젓가락, 숟가락이 있다는 것, 쓴다는 것은 비슷한데 쓰는 방식이 다르다. 그래서 모양도 다르다. 한중일의 수저, 젓가락 차이 음식 먹는 방법 음식을 먹는 방법이 모두 같은 것이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음식을 먹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손으로 먹는다. 세계인의 40% 정도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 둘째, 포크 & 나이프! 세계인의 30% 정도 (유럽과 아메리카) 셋째, 젓가락! 세계인의 30% 정도 (한∙중∙일) 서양 vs 동양 : 서양(나이프∙포크) vs 동양 (수저 : 숟가락∙젓가락) 서양 애들의 먹을 거는? 하나! 스테이크, 더하면 샐러드, 그리고 수프. 그래서 테이블에 등이나, 꽃 같은 것을 놓는다. 여성들은 아름답.. 2023. 3. 31.
사탐 이병철이 이야기하는 남녀의 차이, 남자와 여자의 차이 (배려윤리) 남자와 여자는 어쩌면 종이 다른 존재일지 모른다 결혼에 얽힌 흥미로운 속담들 소크라테스 ‘해도 후회, 안 해도 후회’, 러시아 속담 ‘싸움터에 나갈 때는 한 번, 바다에 나갈 때는 두 번, 결혼할 때는 세 번 기도하라’, 중국에서는 ‘결혼은 경험의 부족, 이혼은 이해의 부족, 재혼은 기억력의 부족’, 아프리카 속담 ‘결혼에는 고통이 있지만 독신에는 행복이 없다’. 프랑스에서 ‘결혼이란 남자들은 자유를, 여자들은 행복을 잃을 각오로 하는 제비 뽑기’ 남녀의 차이를 설명하는 책은 많다.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말을 듣지 않는 남자 지도를 읽지 못하는 여자’... 주로 진화 심리학이나, 진화 생물학적 측면에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음을 설명하고 있다. 쉽게 표현하면, 환경에 적응하면서 그렇.. 2023. 3. 30.
가난한 여행자의 가방이 점점 더 무거워지는 이유, 가난한 가방 가난한 여행의 가방이 더 큰 이유가 있다. 필요할 것이 있다는 두려움이 일기 때문이다. 이야기 시작 친구 셋이 만나 일차로 얼큰하게 취하고 자리를 옮겨 한잔 더 하자는 의견을 모았다. 그 친구의 작업실로 가기로 합의를 했다. 택시를 타고 정릉골 입구에서 내러 "맥주라도 사가야 하지 않을까?"라는 말에 말린다. 작업실 큰 냉장고에 맥주와 안주가 가득하다고. 막상 도착해 보니 두 사람이 앉기도 빠듯한 잘 정리된 예쁜 공간이었다. 잠시 앉아 있으라면서 두 친구는 나갔다. 냉장고가 어딨나 싶어 보는데 작은 호텔에서도 있을 법한 사이즈의 냉장고도 없었다. 알고 보니 작업실과 붙어 있는 편의점을 그들은 냉장고라 부르고 있었다. (그 사이 둘이 가서 맥주랑 안주랑 사 옴) 1 산티아고 순례길, 순례객이 가장 많이 이.. 2023. 3. 29.
일본의 경제 성장과 잃어버린 30년? 과연 남의 일일까? 일본의 경제 성장과 잃어버린 30년, 우리에게는 더 큰 일이 다가온다고 한다. 일본의 이야기 간략 정리  한국인이 가장 싫어하는 나라? 지금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싫어하는 나라는? 중국? 북한? 언제나 우리에겐 일본이 1위다. 그냥 일본이 안 되면 왠지 좋다. 그러나, 지금 젊은 세대들은 이해하지 못할 수 있지만 우리 아버지 세대는 일본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 생각을 가진 대표적인 인물이? 삼성의 이병철 회장. 그래서 본인도, 자기 자식 이건희도 다 일본 와세다 대학 나왔다.  손자인 현 회장 이재용도 서울대 시절에는 학사 논문 일본이었고 석사는 게이요 대학에서 했죠. 물론 박사는 하버드에서 하지만. 오죽하면 1980년대 동경대 대학원에는 동경대 출신, 다음은 한국의 서울대 출신이 가장 많았겠.. 2023. 3. 28.
OK SK, SK 그룹 이야기, 최종건, 최종현, 최태원 회장 2022년 ok SK는 삼성에 이어 현재 재계 순위 2위다. OK SK, SK그룹의 지난 이야기 성장사 최종건(1926~1973) 회장 설립자는 최종건 회장이고, 경기도 수원 태생으로, 부농의 자식이다. 1944년 직물공장에 취직했다가 전쟁 이후 1953 적산 기업인 선경 직물을 받아서 현재 SK의 모태가 된다. 그런데 그 당시 인수 자금 부족하여 바로 밑에 동생 서울대 농화학과 다니던 최종현을 부른다. 최종현 회장은 3학년 마치고 유학 가려고 준비해 둔 돈으로 일단 회사 먼저 인수하고 그리고 회사 돕는다. 그리고 회사가 자리 잡힌 후에 유학을 간다. 위스콘신 대학교에 화학을 전공하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형이 회사 커지면서 힘들어할 때 돕기 위해 돌아온다. 그런데 73년 형(최종건)이 폐암.. 2023. 3.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