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이야기

공리주의의 밴덤은 보수일까? 진보일까? 그리고 밴덤의 시신은 어디에?

by 연구일인 2023. 8. 14.

공리주의자 밴덤은 보수일까? 진보일까? 그 시절에는 급격한 진보주의적인 사상이었다.

 

공리중의자 밴덤

천재이자 부유했던 밴덤

밴덤(1748~1832)은 부유한 집안 태생이었다. 아버지는 변호사였고 교육열도 대단했다. 3살밖에 안 된 벤담을 무릎에 앉히고 희랍어와, 라틴어를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물론 천재적인 두뇌를 가진 밴덤은 그걸 이해했다고 한다. 

 



 

7살에는 불어를 능숙하게 할 수 있었고 12살의 어린 나이로 옥스퍼드 대학에 입학한다. 하지만 너무 조숙한 나머지 동료 집단에서 '왕따'를 당하곤 했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도 밴덤은 입학 후 3년 만에 15살의 나이로 졸업을 한다. 그리고 아버지의 뜻에 따라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다. 옥스퍼드에서 법률학을 공부한, 법학자이며 변호사였으니 먹고사는데 지장이 없었다. 그런데 부친이 사망하면서 평생 일하지 않아도 될 유산까지 물려받게 된다.

 

부끄럼이 많은 밴덤의 어린 시절

어린 시절의 벤덤은 부끄럼을 너무 많이 타 낯선 방문객을 접대하지 못할 정도였고, 식모에게 귀신 이야기를 들으면 집 밖으로 못 나갈 정도로 겁이 많았다. 그래서인지 친구들과 놀기보다는, 어머니나 할머니와 노는 시간이 더 많았다고 한다.

 

동물해방 주장

어린 시절 벤덤은 꽃을 아주 좋아했고 식물 채집을 즐겼다고 한다. 반면 또래 소년들이 즐기던 낚시와 사냥은 매우 싫어했다. 그 이유는 동물이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차마 볼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공리주의 초석은 그의 선천적인 감수성 때문에 세워진 것인지도 모른다.

 

공리주의의 실천

① 제도와 관습

벤덤은 공리주의를 근거로 최대 행복을 가져오지 않는 제도와 관습을 타파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런 맥락에서 보편•평등 선거를 주장하였고  동성애자 처벌을 반대하였으며 노예 제도, 여성에 대한 불평등한 대우 등을 비판하였다. 여기서 한 가지 미국 링컨의 노예해방 선언은 1861년으로 밴덤의 사후 29년 후의 일이다.

 

② 런던대학

벤덤은 당시 상류층만 받을 수 있었던 대학 교육을 중산층도 받을 수 있는 런던 대학(1826년)을 설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런던 대학은 공리주의자들이 세운 민간대학인데 옥스퍼드나 캠브리지와 달리, 계급 · 성별 · 인종에 관계없이 가르친 것으로 유명하다.

  

벤덤의 사후

벤덤은 84세까지 살았으니 장수했다고 할 수 있다. 벤덤은 죽는 순간에도 공리주의자로서의 면모를 잃지 않았다. 벤덤은 그의 시체를 런던 대학에 해부 실습용으로 기부하였다. 그 당시에는 법적으로 사형당한 사람의 시체만 해부학 교육에 사용할 수 있었는데, 죽어서까지도 인류에 보탬이 되려는 그의 소망을 실현하였다. 밴덤은 공리주의자답게 죽은 사람이 산 사람에게 어떤 쓸모가 있을까를 고민했던 것이다. 

 



 

그의 유언에 따라 그은 시신은 해부되었다. 하지만 해부 후에 뼈대에 밀짚을 채워 넣어 만든 몸체에 밀랍으로 만든 가짜 머리를 얹어 평소 입던 옷을 입혀 지금도 런던 대학에 전시하고 있다. 생전에 밴덤은 이 대학의 모든 회의에 참석시켜 달라고 했다고 한다. 그래서 런던대학의 이사회에서 매번 그의 출석을 이렇게 부른다고 한다.

"제레미 벤담 출석! 투표는 하지 않음."

그리고 가끔 영국 의회로 옮겨져 의정 활동을 참관하기도 한다고 한다. 

 

밴덤의 친구들

① 제임스 밀(친구) (존 스튜어트 밀은 밀의 아들)

벤덤에게는 자기보다 25세 어린 제임스 밀이란 열렬히 지지자가 있었다. 벤덤은 밀에게 살 집을 제공하고 밀이 『인도사』(1816)를 집필하는 동안에는 재정적으로 도와주었다. 그뿐 아니라 동인도 회사에서 관리로 일하게도 해 주었다. 여기서 이 제임스 밀은 우리가 아는 밀이 아니다. 우리가 주로 알고 있는 밀은 존스튜어트 밀인데, 제임스 밀은 존스튜어드 밀의 아버지다. 여기서 제임스 밀은 위대한 경제학자 리카르도와 절친이었다. 그리고 벤덤은 제임스 밀의 아들 존 스튜어트 밀에게도 일자리를 제공했다고 한다. 

 

② 오언

밴덤의 친구 중에는 공상적 사회주의자 ‘오언’이란 인물도 있었다. 마르크스 이전의 사회주의자! 공상적 사회주의자다. 오언은 영국인이지만, 자신의 이상향 유토피아를 건설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가, ‘뉴하모니’란 공동체를 설립하기도 했던 인물이다. 벤덤은 오언의 사업에 많은 돈을 투자하기는 했다. 

 

그렇다면 벤덤은 그 시대에 보수였을까? 진보였을까? 

지금으로 따지면 급진주의자였다.

신분 사회에서 평등선거나 노예제의 폐지 등을 주장했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공리주의적 사고가 지배하다 보니, 공리주의가 보수의 보편적인 가치로 생각되어 보수라 오해할 수 있다. 하지만 그건 그 시대의 급진이었던 밴덤의 생각이 실현된 사회에 살고 있기 때문에 생긴 오해다. 당시의 벤덤은 급진적 성격을 가진 건데, 이보다 더 급진적 인물이 오언의 생각이었다. 그렇다고 벤덤이 오언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시대배경

① 자유주의와 극단적 빈부격차

당시 공리주의의 발상은 왜 나왔을까?  철학은 시대상의 반영이니 먼저 시대를 이해해야 한다. 19세기의 영국, 이 시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담 스미스(A. Smith, 1723~1790)를 살펴봐야 한다. 아담 스미스의 가장 유명한 책은 18C末(1776)에 쓴 ‘국부론’이다. 내용을 요약해 보면 누구나 사람은 잘되고 싶어 하는 욕망(=이기심)이 있고 이 이기심을 억제하지 말고 추구하라고 권한다. 왜냐하면, 내가 돈 벌어야 사회 전체 부도 증가 되고, 국가의 부도 증대된다는 이론이다. 국가의 부를 증대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의도하지 않은 국부의 증가를 가져온다는 거죠. 그래서 '그냥 냅둬'라고 한다. 이를 우린 자유방임이라고 하는데, 심각한 문제가 나타난다. 빈부격차다. 빈부격차는 시간이 지날수록 심해졌다. 

 



 

일례로 굶어 죽는 사람도 많았는데 10살만 되면 아침 7시부터 저녁 11시까지 하루 16시간의 노동현장에 투입되어야 했다. 그런데도 굶어 죽는 사람들이 나왔다. 이 당시 아동 노동은 너무나도 당연시되는 때긴 했지만 노동으로 생계를 이어갈 수 없었다. 그래서 19C초(1833)년 영국에서는 공장법을 제정한다. '9세 이하 어린이의 노동을 금하고, 13세 이하 어린이의 노동 시간을 1주 48시간 이내로 제한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너무 당연한 법이라 생각되는가? 지금은 당연한 것이 옛날에는 당연하지 않았던 것이 문제다. 

이런 비참한 삶의 모습을 더 잘 서술한 인물들이 사회주의 계열의 사람들이다. 후에 이 부분은 마르크스의 과학적 사회주의에서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그러나 이 당시 공장법은 ‘정상적인 근무 시간이 아침 5시 30분에 시작해 저녁 9시였다. 법이 이 정도였으니 당연히 잘 안 지켜지던 시대였다. 당시 노동자의 평균수명 28세. 10명 중 9명꼴로 사망하는 아이들, 네 살배기 어린아이도 일을 하는, 그런데도. 더욱 심해지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 자본가들은 더 잘살게 되고 노동자들은 더 가난하게 되던 시대였다.

 

전태일동상청계천
우리에게도 그런 시절이 있었다

 

② 올리버 트위스트 : 찰스 디킨스(Charles Dickens : 1812 ~ 1870)

찰스 디킨스는 ‘크리스마스 캐럴’, ‘올리버 트위스트’ 등의 작품으로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져 있는 영국의 대문호다. 올리버 트위스트는 19세기 영국 런던의 모습을 잘 그렸는데 영국 산업혁명기, 노동자들의 비참한 삶을 고발하는 사회 비판의 성격을 갖고 있다. 물질적 풍요의 증대 속에 인간의 삶, 노동자의 삶은 처참해져 가고 있던 시대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사회문제의 해결 대안들

① 마르크스와 공리주의

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여러 가지 생각들이 나오게 된다. 다양한 사상중에 대표적인 사상이 우리에게 알려진 사회주의 즉, 마르크스적 사고나 벤덤이나 밀로 대변되는 공리주의적 사고다.

 

② 밀 vs 마르크스

밀과 마르크스는, 거의 20년을 같은 런던에서 살면서도 서로를 몰랐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둘 다 유명했지만 공리주의와 사회주의가 애초에 갈 길이 달랐던 것 같다. 마르크스 독일 사람인데 영국 와서 자식이 굶어 죽는다. 그래서 자본주의 좋게 보지 않았다. 하지만 공리주의자 밴덤은 유복한 가정에서 변호사의 아들로 태어났고 자신도 옥스퍼드 나온 변호사였고, 밀은 영국 하원의원을 지냈다. 가는 길이 다를 수밖에 없었을지 모르겠다.

 

‘인간은 잡을 수 없는 저 하늘의 별을 따려고 노력하지만 발아래 꽃 한 송이의 기쁨은 자주 잊어버린다.‘

'벤덤'

 

https://youtu.be/c4oP1Yvwr8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