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철학이야기26

순자(황경 況卿) 이야기! 그 다리가 왜 무너져? 나랏님 탓 아녀? 다리가 무너진 것은 나랏님 탓! 그게 왜 무너져? 순자 이야기 순자라는 인물은? 출생 오늘날에는 유학의 이단아로 평가받지만, 가장 현실적인 유학자로 여겨지는 순자, 순자라는 인물은 어떤 사람이고, 그의 저서와, 사상의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천관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가고자 한다. 순자가 언제 태어나서 언제 죽었는지는 정확하지는 않다. 그냥 순자가 태어날 무렵이 공자가 죽은 지 200년쯤 뒤이고, 맹자가 죽을 무렵이라는 정도. 시기는 전국 시대 말기였고 서서히 통일의 기운이 무르익고 있을 때 즈음 조나라에서 순자가 때어났다. 중국 역사서인 '사기'는 순자의 일생을 50세 무렵부터 적고 있어, 50세 이전에 무엇을 했는지에 대한 기록은 전혀 없다. 이름 순자의 이름은 황(況)이고, 자는 경(卿)인데, .. 2023. 3. 16.
맹자 이야기, 왕이 왕답지 않으면 죽여라. 그래서 출세를 잘 못했다는... 맹자는 이야기 한다. 왕이 왕답지 않으면 죽여라. 그래서 맹자는 그 시절 인기가 없었다. 용비어천가를 부르지 않았기에... 그래서 출세도 제대로 못했다. 맹자(孟子 : BC 372 ~ BC 289)의 일생 맹자는 전국 시대 추(鄒)나라(공자가 살던 노나라 옆의 작은 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가(軻)이고, 자는 자여(子輿) 또는 자거(子車)이다. 생몰 연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공자가 죽은 지 100년쯤 뒤에 태어난 공자 태어나고 170년쯤 뒤에 태어난 인물이다. 맹자 성장 과정의 두 고사 어머니 장(仉)씨가 맹자를 훌륭하게 키우기 위해 세 번 이사를 했다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묘지-장례/시장 - 장사/ 서당)로 유명했다. 이외에도 맹모단기지교(孟母斷機之敎)로도 유명한데, 맹자가 엄마 보.. 2023. 3. 10.
우리가 잘 안다고 생각하는 공자에 대한 간략한 정리 유교국가에서 태어 났고 자랐기에 우리는 공자를 잘 알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과연 그럴까? 우리가 알고 있었어도 될 공자의 이야기를 간략하게 정리해 본다. 공자의 이름 子(존칭) 중국 사상을 공부하다 보며, 공자, 맹자, 순자, 노자, 장자, 주자 등이지. 옛날에 한 학생이. 선생님 애들이 돌림 자를 쓰는 것 보니까 다 한집안 식구인가 보다라고 생각하는데... 이 자자는 선생님이라는 뜻의 호칭이다. 영어의 의미로 따진다면 성인(saint)이란 의미. 그래서 논어에 보면 子曰(자왈) 이렇게 시작하는데 영역본은 teacher said 이렇게 표현한다. 이름(名)은 구(丘) 공자의 이름은 구! 언덕 구(丘)이다. 그것은 공자의 머리가 툭 튀어나온 짱구 모양이었기 때문이라고 하고 공자의 어머니가 니구산(尼丘山 .. 2023. 3. 8.
공자의 저서 논어, 시경, 서경, 역경, 예기, 춘추 공자의 저서 논어, 시경, 서경, 역경, 예기, 춘추에 대한 글이다. 논어, 유교경전의 집대성 공자는 13년간의 유랑생활을 마치고 68세에 노나라에 돌아온다. 그리고 유교 경전을 편찬하는 데 온 힘을 다한다. 이때, 유학의 경전이라고 하는 '서경', '시경', '역경', '예기', '춘추' 등이 정리되는데 이걸 오경이라고 한다. 경이란 본래 베를 짤 때 세로로 걸어 놓는 날줄을 말하는데 영원히 변치 않는 진리를 적은 책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詩經(시경) 이 시경은 참 재미있는 책이다. 주나라 초기부터 유행하던 노래들의 가사 모음집이다. 오늘날로 치면 노래방 가사집 맨 앞에 수록한 ‘오천만의 애창곡’쯤 될 듯 싶다. 원래 이름은 '시詩'였고, 전국 시대 (기원전 475~221)에 이르러 ‘경(經)’자가.. 2023. 3. 2.
공자는 살아야 하는가? 죽어야 하는가? 1999년에 두권의 책이 나왔다.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김경일 1999)와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최병철 1999)! 유가 사상이 중국에 가장 오랜 시간 지배적인 사상일수 있었던 것은 지배층의 철학이였기 때문이다. 공자는 살아야 하는가? 죽어야 하는가?실제로 사람을 의미하는 단어도 民(민)과 人(인)이란 단어를 사용하는데 우리가 들었던 위민, 민본 백성을 위한다.   "백성이 근본이다." 이런 단어가 있는가 하면 애인 사람을 사랑해라.그런데 주로 공자가 사용하는 사람의 의미는 주로 지배층의 의미를 갖는다. 사실 이건 시대를 이해한다면 아주 이상한 것은 아니다. 서양조차도 인간이 존엄이라고 할 때, 그 인간은 모든 인간의 의미가 아니었다. 20C가 되어서야 나오는 이야기니 옳다, 그르다의 문제.. 2023. 2. 17.
퇴계 이황와 율곡 이이 전격비교! 낮과 밤이 다른 사람? 자지 보지의 유래! 우리가 금기시 하는 단어 자지, 보지, 이 말은 어디에서 왔을까요? 이에에 대한 유래가 담겨 있습니다. 청소년도 보고 이해를 해보길... 이황과 이황의 학문적 성향 이황은 성리학 고수 양명학 배척(전습록변) 이황은 정통 성리학을 고수한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양명학이 빛을 보지 못한 것도 이황의 영향이 크다. 왕수인(양명)의 책 '전습록'은 16C에 들어오는데 이황이 해설 쓴다. 책 제목이 '전습록변' 변은 비판한다는 말이다. 이 변자 들어간 책이 정도전의 '불씨잡변' 같은 책인데 느낌이 오는가? (辨(변)은 시비를 가려 참 거짓을 밝힌다는 의미인데, 누가 옳은지 따져 보는 것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그러니 ‘전습론변’은 양명을 디스하면서 퇴계가 쓴 책이다. 후대에 이 퇴계의 전습론변을 디스할려고 .. 2023. 2.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