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발견

한국 신도시에 안경점부터 생기는 이유, 대형 안경점과 건물주

by 연구일인 2025. 3. 21.
반응형

한국 상가의 임대료는 매우 비싼 편으로 서울의 경우 평당 20만 원이 넘습니다. 20평 내외의 작은 상가가 월 400만 원이 넘는다는 의미입니다. 신도시 1층 상가에 대형 안경점은 안경점부터 생기는 이유는 건물주가 선호하는 업종이기 때문입니다. 건물주가 아니더라도 특별한 사람에게 권하는 업종입니다.

 

안경점 수익

서울 도심에서 임대료가 높다는 명동, 강남, 홍대 등에 대형 안경점이 꼭 있습니다. 한국에서 창업한 브랜드 '젠틀 몬스터'는 아예 안경테 전시를 위주로 하는 안테나 샵을 홍대, 성수동에 운영합니다. 판매 대비 수익성이 좋은 업종이기에 가능합니다. 

 

참고. 서울 임대료

서울시가 발표한 '2023년 상가임대차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시내 주요 상권 1층 점포의 월평균 통상임대료(보증금 월세 전환액+월세+공용 관리비)는 1㎡당 평균 7만 4,900원입니다. 점포당 평균 전용면적인 60.2㎡를 적용하면 통상임대료는 450만 원인 셈입니다. 가장 임대료가 비싼 곳은 중구 '북창동(남대문 시장 건너편, 과거 삼성 본사 건너편'으로 월평균 임대료가 1,087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뒤를 이어 명동거리(17만 3,700원/㎡), 명동역(15만 3,600원/㎡), 압구정로데오역(14만 800원/㎡), 강남역(13만 7,900원/㎡) 순입니다.

 

 

예상 연 매출

국세청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2022년을 기준으로 전국 안경원 평균 연매출은 2억 1850만 원으로 나왔습니다. 안경점 수익 구조의 특이점은 안경원이 안경을 위탁판매하지 않고 사입한다는 점입니다. 옷의 유통구조와 비슷합니다. 

 

인허가

안경렌즈의 경우 전문 안경사만이 판매가 가능합니다. 안경테의 경우는 일반 판매도 가능해 온라인 쇼핑몰 등을 위주로 활발하게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만 안경사를 고용해서 안경점을 창업할 수 있습니다.

 

수익성

제품 구매 비용(안경테, 렌즈 등)이 적고,  임대료, 인건비, 관리비 등 정도가 전부인 업종이기에 가능합니다. 관련 광학기계가 3,000만 원~1억 정도로 규모 있게 하면 경쟁을 하기에 쉽지 않은 업종이기에 대형으로 먼저 만들면 경쟁 우위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비용을 보면 창업비가 타 업종에 대해 상대적으로 많지 않습니다. 반면 매출이 있다면 수익성은 높은 업종입니다.

창업비 변동비 고정비

건물 보증금
인테리어
안경테, 렌즈 사입비
광학기계

안경테, 렌즈 등 원가 임대료
인건비 (안경사 + 판매)
관리비

 

 

건물주 선호업종

건물주인 경우 보증금과 임대료가 들어가지 않는 업종입니다. 신도시 중소형 상가 1층을 맥도널드, 스타벅스 등의 필수 업종을 건물주가 직접 운영하는 이유기도 합니다. 안경점을 계획할 때는 맥도널드나 스타벅스보다 얼마나 더 수익성이 좋은지 판단합니다만 지역에서 먼저 생긴 곳이 있으면 창업 때 고민을 더 해야 합니다.

 

안경점 사업권

수익성이 좋고 1~2개 정도만 운영 가능한 업종이기에 상가 인허가, 투자자 등 상가가 생길 때 관여하는 사람들에게 미리 사업을 보장하기도 합니다. 즉, 이해 관계자가 아니면 신도시에서 창업이 쉽지 않은 업종이기도 합니다.

 

남대문 상권과 하루 차이

택배의 발달로 지역 안경점에서 제작이 불가능한 안경도, 남대문과 하루 정도면 모두 구할 수 있습니다. 남대문에서 제작하는 것과 지역 안경점에서 제작하나 시간이 하루 밖에 차이가 안 난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남대문보다 가격이 약간 높더라도 판매가 되는 이유기도 합니다.

 

마무리

최근의 안경은 명품화 되고 있어 안경테는 온라인이나 명품 매장에서 안경 렌즈는 지역에서 맞추는 추세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대형 안경점에서는 온라인의 고급테, 명품테를 함께 팔면서 수익성을 높이는 전략을 취합니다. 대형화할 수 있는 자본이 있는 안경점, 선점할 수 있는 안경점이 유리하기에 신도시에서 안경점부터 생깁니다. 여건이 되는 분들은 조금 더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