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후쿠오카여행

후쿠오카 여행 텐진 숙소 또는 하카타 숙소 결정하는 법

by 연구일인 2025. 4. 7.
반응형

후쿠오카 여행을 계획할 때 숙소를 텐진에 잡을지 하카타에 잡을지 고민하게 됩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후쿠오카에만 있을 예정이면 텐진, 나가사카, 가타큐슈 등 인근 여행을 함께하는 여정이면 하카타역 주변이 좋습니다. 

 

후쿠오카 공항

후쿠오카 공항은 도시와 붙어 있습니다. 공항에서 큐슈의 중심역인 하카타 역까지 3km 정도 떨어진 곳입니다. 서울역에서 용산역 정도의 거리로 매우 가깝습니다. 공항이 도심에 가까워 좋기는 한데 이 때문에 후쿠오카에는 높은 건물이 없어 도시의 매력은 적은 편이기도 합니다.

 

 

 

 

 

숙소선택

해외 여행객이 많은 머무는 숙소는 하카타역 주변과 고속버스터미널이 있는 텐진역인근입니다. 텐진역에는 백화점들이 몰려 있고 작고 예쁜 샵들이 많아 후쿠오카에 처음 가는 여행객들은 텐진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물론 하카타역에도 고속버스터미널이 있습니다만 지방 곳곳으로 가는 고속버스는 텐진에, 패키지 여행을 떠나는 관광버스는 하카타역에 있습니다. 이 점을 참조해서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지도
주황색 라인이 후쿠오카 공항 출도착 지하철

 

 

텐진 지역 호텔 추천

이유 1. 공항에서 버스로 이동이 편리

하카타역은 지하철로 이동하는 것이 편하지만 텐진은 공항밖으로 나와 버스를 이용하면 텐진 터미널까지 10~20분이면 도착합니다. 택시를 이용한다고 해서 2만 원이 나오지 않습니다.

 

후쿠오카 공항이 있는 위의 그림에서 남쪽, Fukuoka Airport 점이 찍인 쪽은 국제선입니다. 지하철을 이용하려면 주황색 라인이 시작되는 점까지 이동해야 합니다. 후쿠오카 공항의 국내선 입구이기도 합니다. 국제선을 이용하는 우리는 공항밖으로 나와 버스나 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편하기도 하고 시간도 적게 걸립니다.

 

이유 2. 주요 쇼핑센터, 관광지 가까움

주요관광지인 니시 공원, 모모치해변, 후쿠오카 타워 등 주요 관광지가 텐진 서쪽, 북쪽에 위치하고 있어 이동에 편리합니다. 그리고 솔라리아, 다이마루, 미나텐진 등 유명 백화점과 대규모 지하상가가 텐진에 있어 놀기 좋습니다. 후쿠오카성이 있는 오호리 공원도 텐진역에서 도보로 15분 정도 거리에 위치하고 잇습니다.

 

이유 3. 유흥가 가까움

가장 번화한 유흥지인 나카수 지역, 나카 강둑에 늘어선 포장마차, 시장 등이 가까운 곳도 텐진인근입니다. 관광이 목적인 분들은 텐진이 더 좋습니다.

 

 

 

 

 

 

업무 목적은 하카타

하카타역은 공항에서 3km 택시 6분 거리로 접근성이 좋습니다. 상대적으로 깨끗하고 저렴한 숙소는 동쪽에 있습니다만 이동이 편리한 곳은 서쪽입니다. 철로를 따라 동서로 분리되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작은 도시지만 일본 4대 도시(도쿄, 오사카, 나고야 등)에 속하는 도시로 일본 주요기업의 지점이 후쿠오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들도 후쿠오카에 지점을 두는데 그 위치가 하카타 역 인근입니다.

 

하카타 쇼핑, 먹거리

하카타 역 동쪽 지역에 작은 식당이 많습니다. 동쪽에 요도바시 카메라와 대형 슈퍼마켓(5층)이 있어 텐진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쇼핑과 맛집을 돌아보기에 충분합니다. 하카타 역 내부에는 큐슈 지역 특산물을 판매하는 상점들이 있으며 하카타역에 위치한 AMU Plaza에 도큐헨즈, 유니클로 등 브랜드가 몰려있어 쇼핑도 텐진에 비해 편리합니다.

 

철도 요충지

하카타역 나가사키, 기타큐슈, 구마모토, 사세보, 유후인, 오이타 등으로 가는 기차가 출발하는 곳입니다. 기차로 이동할 예정이라면 하카타역이 편리합니다.

 

출국이 편리한 공항

사람이 많고 좁은 공항이지만 도심에서 공항이 가까워 출국이 편리한 곳이 후쿠오카 공항입니다. 사가나 나가사키 등 다른 도시로 들어왔더라도 출국은 후쿠오카가 편리하고 시간도 절약한다는 점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출국을 목적으로 후쿠오카에 간다면 텐진에서 숙소를 정하고 버스, 택시로 공항으로 이동해서 출국하는 것을 권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