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이야기

과외와 학원 그리고 보습의 차이 장단점 정리

by 은퇴일인 2025. 1. 3.
반응형

과외와 학원 그리고 보습 등 비슷비슷하고 모두 아는 방식인데 어떤 부분을 중심으로 봐야 하는지, 학생에게 어떤 방식이 효과적인지 장단점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아 정리해 봤습니다. 

 

학원을 다닌다는 것

 

 

 

공교육에서는 학원 없이 모든 것을 해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런데 학생들, 학부모들은 학원을 필요로 합니다. 서로 경쟁을 하는 관계이기 때문입니다.

 

알게 해 주는 대상

학교 선생님이나 학원 강사, 과외 교사, 선배, 친구 등의 지도는 '모르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분'이라는 것은 같습니다. 하지만 알게 해주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 더 '모르는 것을 알게 해 준다'라는 부분 외에 나의 평소 습관 (생각, 행동 포함)을 바꿔 줄 수 있는가가 더 중요합니다. 

 

입주과외

지금은 보기 어려운데 과거 '입주 과외' 선생님이 있었습니다. 서울에서 유명 대학을 다니는 대학생을 집으로 모셔 과외와 숙박을 해결해 주고 과외비도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학생이 여학생인 경우 명문대생이 사위가 되는 일도 많았습니다. 

 

당시 입주과외를 했던 이유는 학생에게 선배가 공부하는 습관을 전달해 주기 위해서였습니다. 과외로 학생에게 가르쳐 주는 것도 중요했지만 부모님의 큰 그림은 명문대생의 생활 습관이 학생에게 그대로 전달돼서 명문대생의 후배가 되어주기를 하는 바람이었습니다.

 

선생님과외

1980년 과외 금지 조치가 있기 전에는 초중고 교사들이 공부방이나 과외를 했었다고 합니다. 성적을 확실하게 올리는 방법이기도 했습니다. 믿기지 않지만 교사의 월급이 박봉이었기에 당연시했던 시절입니다. 선생님 과외가 가장 확실한데 입주 과외를 했다는 것은 얻고자 하는 효과가 달랐기 때문입니다.

 

친구효과

공부잘하는 친구와 친해져서 공부를 한 사레는 흔합니다. 친구의 습관을 따라 하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학원 네트워크나 학부모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대치동에서는 팀을 만들어 같은 강사에게 그룹 수업을 받습니다.

 

장단점 비교

 

 

 

  장점 단점
친구
효과 빠름
생활 습관 변화로 바로 변화

성적 상승 한계 있음
과외
비슷한 눈높이에서 학습
단기 성적 상승에 유리
맞춤 학습

강사 편차 큼
그룹 과외
문제가 확실한 경우 바로 해결
경쟁 구조 있음
친구 형성 가능


개인별 맞춤 어려움
고가

보습
필요한 부분과 맞는 경우
과외만큼 확실


맞는 강사를 찾아야 함
지속시 문제 발생
(학생이 의존)

학원
저렴
다양한 강사
경쟁 구조 있음

개별 맞춤 어려움

 



활용

과외의 경우 학생이 비슷한 또래의 선배, 즉 비슷한 경험을 지닌 선배에게 배우는 효과가 아니라면 좋은 보습학원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강의력은 경쟁을 통해 우위를 점한 강사들의 경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코칭과 학원을 분리하고 학생의 문제점은 코칭을 하는 분을 통해 확인하고 문제점 리스트를 만들어 하나씩 해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물론 여력이 된다는 가정에서 입니다. 과외와 학원의 차이만 분명하게 알아도 적확하게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